스킨푸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2길 39
Design background
먹을 수 있는 화장품은 스킨푸드의 주요 광고 전략이었다.
ARCH166은 이 개념과 사람이 모이는 장소로서의 문화공간을 디자인 하기위해 “찰리와 초콜릿공장’이란 영화와 미셀 공드리의 영화적 기법(다른 사물로 사물의 본질을 표현해 나아가는 것)을 공간적 영역으로 가져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특성이다.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 Michel Gondry
“찰리와 초콜릿공장”은 많은 상상력을 자극한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조과정에 상상적 스토리를 담았다. 그리고 “미쉘 공드리”는 다른 사물로 그 사물 본질 혹은 행위를 재구성하여 나아간다. ARCH166은 공간적 상상력과 다른 사물로의 대변성으로 끊임없이 만들고 움직이는 챨리의 공장을 제안하였다.
Design Concept
“찰리와 초콜릿공장” 그리고 “미쉘 공드리”의 교감적 공간
Design background
The cosmetics edible are a major advertising strategy for skin food.
ARCH 166 is about the film and the film technique of the Michel Gondrey, which brings togeth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nd the film industry as a gathering place.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Charlie and Chocolate factories” incite a lot of imagination. And “Michelle Gondry” goes on to reconstruct the substance of the object or its actions from another object. ARCH 166 proposes the working Charlie’s Factory, which is constantly being created as a metaphor for spatial imagination and other things.
Design Concept
The sympathetic spaces of “Charlie and Chocolate Factory” and “Michelle Gondley”.
책임디자인 : 이승엽, 김자경, 최종원
팀: 정산해, 강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