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금곡도서관 설계공모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1080번지

시민들에게 열려있는 개방형 도서관


다양한 연령층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지어지는 공공도서관으로 여러 방향에서 오는 방문객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후면으로 오픈스페이스를 두어 접근이 용이하며 학교와의 연결 기능을 열어놓고 계획하였다. 보행로와 닿아있는 전면공간에 공원을 배치하고 수목을 존치시켜 기존 공원의 느낌을 가져와 이질감이 주변과 이질감 없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인근 초등학교의 아이들과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횡단보도에서 이격하여 배치해 보행환경의 안전성을 높였으며,주차동선을 보행로와 분리하여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보행자와 차로가 완전히 분리된 배치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외부 녹지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마주침이 이루어지는 열린 공간 계획


벽을 최소화한 열린 공간을 구성하여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이용자들이 도서관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어린이와 유아, 노인 등 노유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실을 1층에 배치하여 이동 취약계층도 도서관을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벽이 아닌 가구, 계단 등으로 공간을 나누어 막혀있지 않고 2층으로 이어지는 오픈 스페이스를 두어 실내에서도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유기적인 독서공간 계획


어울림 마당의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개방적인 열람실을 구성하여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용자 동선을 고려하여 자료실과 열람실을 배치하였으며 가구로 나누어진 각각의 공간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서로 열려있어 연계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옥외공간을 각 실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경계의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녹지공간 계획


기존 크레파스 공원의 기능을 수직적으로 분산하여 모든 층에서 자연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저층부에는 기존 수목을 활용한 수목배치를 하여 산책길을 조성하였고 중층에서는 이용자들이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계획하였다. 옥상을 녹화하여 기존어린이 공원에 있던 작은 수목을 이식하고 놀이터를 두어 어린이 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연결하였다.



Project dateCategory설계설계담당
2024.10공모전, 도서관, 어린이시설arch166 디자인 사무소(이승엽)이승엽, 김정아, 이은주, 안성진, 이은정, 류지연, 진예빈